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tensorflow
- 인공지능
- Python
- leg
- pwnable.kr
- 기능개발
- programmers
- logistic regression
- AI
- 텐서플로
- Softmax classification
- Algorithm
- Linear_regression
Archives
- Today
- Total
나혼자 공부장
[Programmers] 삼각 달팽이 (Python 3) 본문
문제 설명
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다음 그림과 같이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n인 삼각형에서 맨 위 꼭짓점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달팽이 채우기를 진행한 후, 첫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모두 순서대로 합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n은 1 이상 1,000 이하입니다.
문제 처음 키고나서 이 비주얼을 보고.. 으악스러웠다
그러나 풀긴 잘 풀렸다.
다른 사람의 풀이들을 봤을 때 나와 완벽히 겹치는 로직은 없었던거 같아서..
뭔가 나름 독창적으로 푼 느낌이 들어 뿌듯한 문제였다.
삼각형 모양은 2차원 배열로 나타내기 까다로우므로, 구분구적법 막대그래프처럼 세운 형태로 리스트화했다.
그리고 내 로직에서 핵심 규칙은 아래 그림과 같다.
삼각 달팽이에 대충 손가락으로 달팽이 선을 그어보면서 확인해보면,
1. 총 만들어지는 직선+종점(위 사진에선 21)의 수가 n과 같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. 예시 사진의 경우 뿐만 아니라 모든 n에서 성립한다.
그리고 한 가지 더.
2. 직선마다 지나가는 숫자 또한 -1 공차의 등차수열 형태를 보인다.
이 두가지 로직을 핵심으로 코딩했다.
풀이
def solution(n):
snail = [[None]*n for _ in range(n)]
change = [(1,0),(0,1),(-1,-1)]
num = 0
cnt = -1
x,y = -1,0
for i in range(n, 0, -1):
cnt = cnt + 1 if cnt < 2 else 0
for j in range(i):
num += 1
dx, dy = change[cnt]
x, y = x+dx, y+dy
snail[x][y]=num
return list(filter(None, sum(snail, [])))
'Algorithm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ogrammers] 카카오프렌즈 컬러링북 (C++) (0) | 2020.12.29 |
---|---|
[Programmers] 문자열 압축 (Python 3) (0) | 2020.12.28 |
[Programmers] 완주하지 못한 선수 (Python 3) (0) | 2020.12.26 |
Comments